설교

왜 수고하는 농부인가(딤후 2:6), 김덕선 목사

liefd 2024. 8. 9. 09:25
반응형

 

 바울은 디모데에게 복음 사역을 위해 섬기는 사람들이 갖추어야 자세에 관해 가지 비유를 들고 있습니다. 병사의 비유를 통해 사생활에 매이지 말아야 한다는 , 운동선수의 비유를 통해 복음에 합당한 생활을 것을 권면하고 있습니다.

 

농부에게는  피땀을 흘리는 수고가 있어야 합니다. 6절입니다. 수고하는 농부가 곡식을 먼저 받는 것이 마땅하니라. 바울이 어떤 메시지를 전하고 싶어서 수고하는 농부의 비유를 들었을까요? 아무리 땅이 척박하거나, 기후가 따라 주지 않아도, 마음이 내키지 않아도 농사 일에 힘써야 합니다. 농부는 풍성한 수확을 거두기 위해 열심히 수고하는 것처럼 신자는 복음의 열매를 맺기 위하여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좋은 농부는 이른 새벽부터 늦은 밤까지 밭을 갈고, 씨를 뿌리고, 물을 주고 잡초나 가라지를 제거하고 병충해를 막으며, 인내로 수확합니다. 마찬가지로 복음의 사역을 마음을 다하고 뜻을 다하고 힘을 다해야 합니다.  

 

농사는 심는대로 거두는 법칙이 적용됩니다. 적게 심으면 적게 거두고 많이 심으면 많이 거두게 됩니다. 농부에게는 씨를 심고 수확을 때까지 길이 참고 기다려야 합니다. 야고보서 5 7 보면 농부의 예를 들면서 어떻게 참고 기다려야 하는지를 권면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형제들아 주께서 강림하시기까지 길이 참으라 보라 농부가 땅에서 나는 귀한 열매를 바라고 길이 참아 이른 비와 늦은 비를 기다리나니.

 

농부는 그냥 참는 것이 아니라 땅에서 나는 귀한 열매를 바라고 길이 참습니다. 농사는 다른 어떤 직종보다 하나님의 손길이 필요합니다. 충분한 햇빛과 때에 맞추어 비가 내려야 합니다. 수확하기까지 농부의 손길이 많이 필요합니다. 골로새서 1 29 의하면 바울은 복음의 사역을 위해 어떤 자세를 가져야 것인지를 교훈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하여 나도 속에서 능력으로 역사하시는 이의 역사를 따라 힘을 다하여 수고하노라.   

 

이렇게 농부가 수고를 아끼지 않은 덕에 수확을 거두는 보상을 받는 것은 당연합니다. 수고하는 농부가 곡식을 먼저 받는 것이 마땅하다는 것은 헌신적으로 수고할 보상을 받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마찬가지로 신자가 복음에 감격하여 사역을 열심히 감당해야 하고 이로써 살아가라고 주께서 명하셨습니다. 고린도전서 10 14절입니다. 이와 같이 주께서도 복음 전하는 자들이 복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 명하셨느니라.복음사역을 위해 수고하는 주의 종들이 영적인 보상을 받게 됩니다. 다니엘서 12 3절입니다. 지혜있는 자는 궁창의 빛과 같이 빛날 것이요 많은 사람을 옳은 데로 돌아오게 하는 자는 별과 같이 영원토록 빛나리라.

 

복음 사역자가 누리는 삼중 기쁨이 있습니다. 복음을 전파할 신앙의 감격과 확신을 누리게 됩니다. 복음을 듣는 사람들 가운데 주께서 마음을 열어 주셔서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기쁨을 누리게 됩니다. 복음의 씨앗이 뿌려져서 다른 이들의 삶에서 열매를 맺는 것을 보면서 커다란 기쁨을 얻게 됩니다.   세상을 살아가면서도 주님께서 주시는 풍성한 은혜를 누리게 되고 장차 주님 앞에서 상급을 받게 됩니다.

 

복음을 위한 수고는 결코 헛되지 않고 영원한 투자로 기억됩니다. 고린도전서 15 58절입니다. 그러므로 사랑하는 형제들아 견실하며 흔들리지 말고 항상 주의 일에 더욱 힘쓰는 자들이 되라 이는 너희 수고가 안에서 헛되지 않은 앎이라. 고통이 없이는 영적 유익이 없습니다. 은혜의 방편에 부지런하지 않으면서 위로부터 부어주시는 은헤만을 기다리는 사람은 농부가 밭에 씨를 뿌리는 것으로 만족하고 추수 때까지 전혀 돌보지 않으면서 많은 수확을 기대하는 것과 같습니다. 로마서 12 11절입니다. 부지런하여 게으르지 말고 열심을 품고 주를 섬기라.  

젊은이들은 모두 열정이 있습니다. 그러나 젊은이들의 열정은 빨리 왔다가 빨리 사라집니다. 끊임없고 지속적인 열정만이 진정한 가치가 있습니다. 당신은 프로젝트에서 실패할 수도 있고, 고객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추구하는 것을 포기하면 됩니다. 실패한 다음에 다시 도전하는 , 이것이 열정입니다. 그러므로 나는 당신의 열정을 3 이상, 나아가 일생동안 유지하기를 바랍니다. 열정은 상처받을 없기 때문입니다.(알리바바 마원의 12가지 인생 강의)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