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리뷰

지루함을 깨뜨리는 가르침의 기술

liefd 2024. 2. 1. 11:43
반응형

      

 

진짜 문제는 보다 근본적인 것에 있다. 우리의 문제는 우리가 길을 잃었다는 것이다.

우린 우리가 하고 있는 일을 왜 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성인들이 배우고 싶어하는 것들

1.    성경

 

2.    예수님과의 개인적인 교제

 

3.    사랑과 관심을 표현하는 기술의 개발

10대 청소년들이 배우고 싶어하는 것들

1.    어떻게 친구를 사귀고 또 친구가 될 수 있는지

 

2.    예수 그리스도를 알고 사랑하는 법

 

3.    하나님이 어떤 분이신지

 

교회교육의 목적은 예수님을 알고 사랑하고 순종하는 것이다.

 

교회교육의 목표 : 너는 마음을 다하고 성품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를 사랑하라(6:5)

가르침보다는 배움에 초점을 맞추라

우리는 지식을 나누어 주는 전통적인 역할로부터 학생들이 성장하도록 도와주는 멘토, 모본, 경험의 편성자 역할로 전환해야 한다.

 

미국의 그룹 출판사에서 초등학교 5-6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54%의 학생들이 그 주에 교회 학교에서 배운 것을 한 가지도 기억해 내지 못하였다.

좋은 내용을 가르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더 나아가 학생들이 좋은 것을 배우고 있다는 것을 확인해야 한다.

 

그것을 어떻게 확인할 것인가? 우리가 그동안 어떻게 배웠는지를 무시해야 한다. 교사로서 가르치는 내용을 알고 있다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인식해야만 한다. 어떻게 해야 학생들이 배운 내용을 생활 속에서 적용할 수 있는 지를 알아야 한다.

 

예수님의 교육 기법

1.    학습자가 처한 상황에서 시작하라

예수님은 배, 물고기, , , 술 빵, 무화과 나무, , 곡식 등 배우는 사람들이 잘 알고 있는 물건이나 주제를 사용하셨다. 즉 그들이 처해 있는 상황에서 시작하셨다. 주님은 배우는 사람들이 이미 알고 있는 것 바랑으로 할 때 효과적인 학습이

가능하다는 것을 아셨다.

2.    학습자가 진리를 발견하도록 하라.

예수님은 베드로가 믿음에 대해 배울 수 있도록 물위를 걸어오라고 하셨다(14:25-33). 베드로는 자기의 경험을 통하여 진리를 발견하였다. 베드로는 믿음에 대한 강의를 통해 하실 수도 있었겠지만 베드로가 스스로 발견하기를 원하셨다.

3.    배울 수 있는 순간들을 잘 활용하라

간음하다 붙잡힌 여인(8:1-11), 호수에 몰아친 폭풍(8:22-25), 회당에 들어온 중풍병자(12:9-13) 등 예수님은 사람들이 배울 준비가 되어 있는 것을 아셨다. 주님은 주변에서 벌어지는 일 들 속에서 가르쳐야 할 것들을 이끌어내는데 주저하지 않으셨다.

4.    학습자가 배운 것을 실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라

예수님은 부자 청년을 가르치신 후 자기의 모든 재산을 팔라고 말씀하셨다(10:17-21). 예수님은 배신에 대해 가르치신 후 베드로와 가롯 유다 그리고 나머지 제자에게 충성심을 실천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주셨다(26:31-49). 그때의 실패는 그들의 기억 속에 깊은 교훈을 새겨 놓았다.

 

내가 설교 중에 기억나는 것이 무엇입니까? 중심 내용은 무엇이었나요? 설교를 듣고 생활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해 얘기해 주시겠습니까?

 

오늘의 설교를 통해 배운 것이라든가 혹은 이 설교를 듣고 고쳐야 하겠다고 생각하는 것 등의 질문에 대해 한 가지씩 적게 하는 것이다.

또 지난 주 설교 중 기억하고 있는 것을 적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우리가 공부한 것중 가장 기억에 남는 내용은 어떤 것인가? 그 이유는?

우리가 지난 주에 배운 것을 생활 속에서 어떻게 적용했는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