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리뷰

당신의 말 어떤 영향력을 끼치는가?

liefd 2024. 5. 8. 15:12
반응형

 

 

진실한 대화를 죽이는 요소는 바로 충고이다.

 

지원자가 말을 많이 하게 되고, 존중받은 느낌을 갖게 하라. 스스로 답을 찾아가게 하라. 질문을 많이 하게 하라, 자극과 개발을 시키도록 도전하라. 눈을 떼지 말라.

 

그러셨군요, 그래서요?

부정적인 질문에서 는 독약과 같다

 

 

무엇입니까?(추궁받는다는 느낌이 든다) 보다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가 더 좋은 질문이다.

 

가정형으로 물을 때 상대방은 판단받지 않는다고 느낀다

 

강점에 초점을 맞추라. 잘못된 것을 바로잡는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를 인정해주고 격려하는 것이다.

 

아무리 잘못했다 하더라도 최소한 2-3회까지는 격려해 주라. 문제인식의 단계는 그 다음이다.

 

욥의 세 친구들은 욥을 정죄하는 태도를 가지고 욥을 고치려고 합니다. 즉 그들은 욥이 범죄하였기 때문에 이런 고난을 당한다고 비난합니다. 지금이라도 회개하면 하나님께서 고난을 돌이키시고 축복하신다고 말합니다. 반면에 욥은 오히려 당신들보다 내가 더 의롭게 살았다. 당신들이 어떻게 나를 정죄할 수가 있는가?

 

욥의 세 친구들은 그러면 당신이 죄가 없다면 왜 이런 고난을 당하는가? 그러니까 욥은 자신이 잘못한 것이 없는데 왜 하나님께서 자신에게 이런 고난을 주시는지 그 이유를 알 수 없다고 불평합니다. 나중에 자신이 하나님보다 더 의롭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이에 대해 엘리후는 하나님은 사람들의 유익을 위해 고난을 주신다고 말합니다. 우리가 고난을 당할 때 그 사건을 통해서 우리는 교훈을 발견해야 합니다. 우리는 고난을 통해서 성장의 기회를 삼아야 합니다. 또한 고난을 통한 하나님의 목적이 무엇인지 발견해야 합니다.

 

엘리후의 대화를 통해서 우리가 발견할 수 있는 몇 가지 교훈이 있습니다.

 

첫째 대화는 서로 동일한 자세를 가져야 합니다.

 

욥 기 336-7절에 보면 엘리후는 자신이나 욥이나 똑같이 하나님의 피조물이라는 언급합니다. 내가 당신을 두렵게 하거나 누를 수 있는 그런 위치에 있지 않다고 말합니다.

 

욥기 3314-26절에 보면 둘째로 엘리후는 하나님께서 고난을 통해서 우리에게 분명하게 교훈하신다고 말합니다.

 

말씀을 통해서, 꿈이나 환상을 통해서, 질병을 통해서 우리에게 교훈하십니다. 그리고 욥기 3326-30절에서 엘리후는 하나님께서 고난을 통해서 우리를 유익하게 하신다고 말합니다.

 

욥기 356-8절에 보면 엘리후는 욥에게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사람의 죄가 하나님께 해가 되는 것이 아닙니다. 또한 사람의 의가 하나님께 영향을 끼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유익을 위한 것임을 지적합니다. 우리의 기도가 응답받지 못하는 것은 자신의 의를 고집하는 교만 때문입니다.

 

엘리후는 욥기 37장에서 하나님께서 행하신 일들을 통해서 우리는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고 하나님을 경외하는 기회로 삼으라고 권면합니다(23-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