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도서 3장 1절에 보면 “범사에 기한이 있고 천하 만사가 다 때”가 있다고 했습니다. 모든 것이 다 때가 있습니다. 개인이나 기업이나 사회가 때에 맞게 살아가는 지혜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 사도 요한은 지금이 마지막 때라는 사실을 강조합니다. 마지막 때의 정확한 날짜와 시간을 알 수 없지만 마지막 때에 나타나는 징조가 있습니다.
1. 마지막 시대에 그리스도인은 준비해야 합니다
신앙생활을 하면서 우리가 경계해야 할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이 세상의 것을 사랑하는 것입니다.
다른 하나는 적그리스도의 유혹에 넘어가는 것입니다.
본문 18절입니다. “아이들아 지금은 마지막 때라 적그리스도가 오리라는 말을 너희가 들은 것과 같이 지금도 많은 적 그리스도가 일어났으니 그러므로 우리가 마지막 때인 줄 아노라.” 아이들이라고 표현한 이유가 무엇일까요? 죄 사함을 받고 하나님의 자녀가 된 후에 가장 필요한 것은 올바른 신앙을 분별하고 진리의 말씀 위에 내 신앙을 견고히 세우는 것입니다. 사도 바울은 영적인 어린아이의 특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에베소서 4장 4절입니다. 아는 우리가 이제부터 어린아이가 되지 아니하여 사람의 속임수와 간사한 유혹에 빠져 온갖 교훈의 풍조에 밀려 요동하지 않게 하려 함이라.” 적그리스도란 그리스도를 대적하는 자를 가리킵니다. 당시에 성도들을 미혹했던 영지주의자들을 가리킵니다. 요한이서 7절입니다. “미혹하는 자가 세상에 많이 나왔나니 이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육체로 오심을 부인하는 자라 이런 자가 미혹하는 자요 적그리스도니.”
마지막 때에 나타나는 징조 가운데 하나가 많은 거짓 선지자들과 적그리스도가 나타나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말세의 징조에 대해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마태복음 24장 10-12절입니다. “그때에 많은 사람이 실족하게 되어 서로 잡아 주고 서로 미워하겠으며 거짓 선지자가 많이 일어나 많은 사람을 미혹하겠으며 불법이 성하므로 많은 사람의 사랑이 식저지리라.”
2.마지막 때에 적그리스도의 특징은 무엇일까요?
본문 19절입니다. “그들이 우리에게서 나갔으나 우리에게 속하지 아니하였나니 만일 우리에게 속하였더라면 우리와 함께 거하였으려니와 그들이 나간 것은 다 우리에게 속하지 아니함을 나타내려 함이니라.” 모든 이단은 예수님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수님을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믿지 않으면 이단입니다.
당시에 '적그리스도는 다른 종교를 가진 자가 아니라 교회의 일원으로 있다가 거짓 교리에 빠진 사람을 말합니다. 그들이 스스로 나간 것을 보고 요한이 '우리에게 속하지 아니하였다'고 진술하는 것은 영지주의자들이 형식적으로는 소속되어 있는 자들이었지만 사실상은 전혀 교회의 일원이라 할 수 없었던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들은 예수께서 육체로 오신 것을 받아들일 수 없었기 때문에 스스로 공동체를 떠난 것입니다.
3. 하나님의 자녀의 특징이 무엇일까요?
본문 20절입니다. “너희는 거룩하신 자에게서 기름부음을 받고 모든 것을 아느니라.” 그리스도인은 복음의 진리를 깨달은 사람입니다. 성령의 역사하심을 경험한 사람에게는 영적 분별력이 생깁니다. 즉 성령의 역사하심으로 진리의 말씀을 깨닫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요한복음 16장 13절입니다. “그러나 진리의 성령이 오시면 그가 너희를 모든 진리 가운데로 인도하시리니 그가 스스로 말하지 않고 오직 들은 것을 말하며 장래 일을 너희에게 알리시리라.”그런데 당시에 영지주의자들은 신비한 지식을 깨달은 극소수만이 하나님과 모든 것을 안다고 거짓된 주장을 하였습니다. 이에 반해 성령의 기름부음을 받은 성도들은 진리를 알고 있습니다.
본문 21절입니다. “내가 너희에게 쓰는 것은 너희가 진리를 알지 못하기 때문이 아니라 알기 때문이요 또 모든 거짓은 진리에서 나지 않기 때문이라.” 사도 요한이 이것을 기록하는 이유는 성도들이 진리를 알기 때문이요, 모든 거짓은 진리에서 나지 않는다는 것을 다시 일깨워 주기 위함 입니다
'설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의한 청지기의 비유(누가복음 16:1-13), 김덕선 목사 (1) | 2025.01.04 |
---|---|
마지막 날(마태복음 26:20-75), 김덕선 목사 (0) | 2024.12.31 |
므나의 비유(누가복음 19:11-27, 김덕선 목사 (1) | 2024.12.30 |
집 안의 탕자 비유(눅 15:25-32), 김덕선 목사 (0) | 2024.12.29 |
야곱의 생애 전환점(창세기 32:28), 김덕선 목사 (3) | 2024.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