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설교

당신은 어느 길로 가십니까?(시 1:1-6), 김덕선 목사

by liefd 2024. 2. 22.
반응형

 

시편 16절에 보면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두 가지 길에 관해 말씀하고 있습니다. “대저 의인의 길은 여호와께서 인정하시나 악인의 길은 망하리로다. 우리가 의인의 길을 선택하면 잘됩니다. 그러나 악인의 길을 선택하면 일이 자꾸 꼬입니다.

 

여기서 ”이라고  하는 것은 단순히 한번 해보는 정도가 아니라 계속해서 그렇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 내게 주어진 일을 잘 해보려고 하는 노력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내가 어느 길로 가고 있는가? 그것이 더욱 중요합니다. 과연 당신은 어느 길로 가고 있습니까? 의인의 길입니까? 아니면 악인의 길입니까?

 

새해에 우리는 의인의 길로 가기를 축원합니다. 의인의 길로 가는 사람을 하나님께서 인정해주십니다. 사람들의 인정을 받는 것도 물론 중요합니다. 하지만 사람의 인정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하더라도 하나님의 인정을 받는 자가 되어야 합니다. 그러면 어떻게 하면 하나님의 인정을 받을 수 있을까요?

 

시편 11절에 보면 의인은 복 있는 사람입니다. 복 있는 사람의 특징이 무엇일까요? 시편 11절 말씀 다같이 읽겠습니다. “복 있는 사람은 악인의 꾀를 좇지 아니하며 죄인의 길에 서지 아니하며 오만한 자의 자리에 앉지 아니하고복있는 사람은 어떠한 경우에도 잘못된 영향을 받지 않았습니다. 여기서 "악"이란 무슨 특별한 잘못을 범한 사람이 아니라 자기의 생각대로 살아가는 사람을 말합니다.

 

시편 12절 말씀 다같이 읽겠습니다. “오직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여 그 율법을 주야로 묵상하는 자로다.

잠언 1620절 말씀 다같이 읽겠습니다. “삼가 말씀에 주의하는 자는 좋은 것을 얻나니 여호와를 의지하는 자가 복이 있나이다.

누가복음 1128절 말씀 다같이 읽겠습니다. “오히려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지키는 자가 복이 있나이다.

 

복있는 사람은 하나님의 말씀을 묵상하면서 자신의 생활에 적용시키면서 살아갑니다. 요한계시록 13절에 보면 이 예언의 말씀을 읽는자와 듣는 자들과 지키는 자들이 복이 있나니 때가 가까움이라

 

성경에는 의인이라는 단어가 두 가지로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로마서 117절 말씀 다같이 읽겠습니다. “복음에는 하나님의 의가 나타나서 믿음으로 믿음에 이르게 하나니 기록된바 오직 의인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 함과 같으니라.여기서 의인은 예수 그리스도를 주로 고백하는 자를 가리킵니다. 시편 12절에 나타난 의인은 말씀에 순종하는 자를 가리킵니다.

 

시편 13절 말씀 다같이 읽겠습니다. “저는 시냇가에 심은 나무가 시절을 좇아 과실을 맺으며 그 잎사귀가 마르지 아니함 같으니 그 행사가 다 형통하리로다.시냇가에 심은 나무는 가무는 해에도 결실이 끊어지지 않습니다. 언제나 시절을 좇아 과실을 맺습니다. 그 잎사귀가 마르지 않습니다. 경기가 어렵다고 해서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그가 하는 모든 일이 형통합니다.

 

요한복음 529절에 보면 선한 일을 행한 자는 생명의 부활로, 악한 일을 행한 자는 심판의 부활로 나오리라.”고 했습니다. 즉 그리스도께서 재림하실 때 선한 일을 행한 자는 생명의 부활로, 악한 일을 행한 자는 심판의 부활로 나아가게 됩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선한 일은 무엇일까요? 에베소서 210절 말씀 다같이 읽겠습니다. “우리는 그의 만드신 바라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선한 일을 위하여 지으심을 받은 자니 이 일은 하나님이 전에 예비하사 우리로 그 가운데서 행하게 하려 하심이니라.하나님께서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창조하신 목적은 바로 선한 일을 행하게 하려 함입니다.

 

디도서 214절 말씀 다같이 읽겠습니다. “그가 우리를 대신하여 주심은 모든 불법에서 우리를 구속하시고 우리를 깨끗하게 하사 선한 일에 열심하는 친백성이 되게 하려 하심이니라.우리를 모든 불법, 곧 죄에서 구속하신 이유가 선한 일에 열심하는 친백성이 되게 하기 위함이었다고 합니다. 따라서 우리가 창조의 목적대로 하나님을 섬기는 자는 생명의 부활로 나오게 됩니다. 하지만 하나님을 경외하지 아니한 자는 심판의 부활로 나오게 됩니다.

 

마태복음 713-14절에 보면 교회 안에 두 길이 있습니다. 좁은 문과 넓은 문이 있습니다. 생명의 길과 사망의 길이 있습니다. 축복의 길과 저주의 길이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지금이 당신이 생명의 길을 선택하시기를 간절히 원하고 계십니다. 그런데 당신은 지금 어느 길을 택하여 가고 있습니다.

 

신명기 3019-20절 말씀 다같이 읽겠습니다. “내가 오늘날 천지를 불러서 너희에게 증거를 삼노라 내가 생명과 사망과 복과 저주를 네 앞에 두었은즉 너와 네 자손이 살기 위하여 생명을 택하고 네 하나님 여호와를 사랑하고 그 말씀을 순종하며 또 그에게 부종하라..”

 

에덴동산에서 아담은 생명의 길을 선택하지 아니하고 사망의 길을 선택하여 에덴동산에서 쫒겨나 사망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애굽에서 구원받은 이스라엘 백성들 가운데서도 일부의 사람들만 생명의 길을 택하였습니다. 다수의 사람들은 사망의 길을 선택하였습니다. 우리는 사망의 길을 선택한 사람들을 교훈삼아 생명의 길을 선택해야 합니다.

 

하나님께서는 당신 앞에 두 가지 길을 주셨습니다. 어느 길로 갈 것인지?는 전적으로 당신의 선택 여하에 달려 있습니다. 생명의 길을 선택하면 축복이 있습니다. 사망의 길을 선택하면 저주의 길이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왜 나를 축복해 주시지 않느냐고 불평하지 마십시오. 하나님께서는 나를 축복하기를 원하십니다. 다만 내가 축복받지 못하는 길을 선택했기 때문입니다. 누구 때문에 이렇게 되었다고 원망하지 마십시오, 내가 잘못해서 이렇게 되었다고 인정하십시오. 우리는 반드시 의인의 길, 생명의 길을 선택해야 합니다.

 

우리는 어떠한 경우에도 악인의 길, 사망의 길을 선택해서는 안됩니다. 우리는 유다서 111절의 길을 따라 가서는 안됩니다. “화 있을찐저 이 사람들이여 가인의 길에 행하였으며 삯을 위하여 발람의 어그러진 길로 몰려 갔으며 고라의 패역을 좇아 멸망을 받았도다.

 

가인의 길은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치 않음으로 하나님의 영광을 훼방하는 죄를 지었습니다. 발람은 탐욕에 눈이 어두워 자신의 사명을 그르치고 말았습니다. 고라는 권위에 도전함으로 자신의 가문이 몰락하고 말았습니다. 그들이 가는 길은 멸망의 길이었습니다.

 

분열 왕국시대에 북 이스라엘의 멸망이 가속화된 이유가 무엇일까요? 대부분의 왕들이 여로보암의 길을 선택했기 때문입니다. 열왕기상 1525절에 보면 여로보암의 아들 나답이 이스라엘 왕이 되었습니다. 그는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하여 그 아비의 길로 행하여 그가 이스라엘로 범하게 한 그 죄를 행하였습니다. 북쪽 이스라엘의 왕들을 보면 아버지가 잘못된 길을 선택하였을 때 자녀들이 잘못된 길이 가게될 가능성이 대단히 높습니다.

 

이스라엘의 왕 아합의 아들 아하시야가 통치하였을 때 그가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하여 아비의 길과 그 어미의 길을 그대로 따르고 있었습니다. 또한 그는 이스라엘로 범죄케 한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의 길로 행하였습니다. 자녀들은 부모의 잘못된 길을 그대로 본받을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깨닫고 부모가 정말 잘 해야 합니다. 만약 내가 잘못된 그 길을 내 자녀들이 답습한다고 생각하면서 자신의 행동에 매우 신중해야 합니다.

 

그래도 남쪽 유다가 오랫동안 지탱할 수 있었던 것은 역대 왕들이 다윗의 길을 선택하였습니다. 열왕기하 222절 말씀 다같이 읽겠습니다. “요시야가 여호와 보시기에 정직히 행하여 그 조상 다윗의 모든 길로 행하고 좌우로 치우치지 아니하였더라여기서 다윗의 모든 길로 행하였다는 의미가 무엇일까요?

 

열왕기상 23절 말씀 다같이 읽겠습니다. “네 하나님 여호와의 명을 지켜 그 길로 행하여 그 법률과 계명과 율례와 증거를 모세의 율법에 기록된 대로 지키라 그리하면 네가 무릇 무엇을 하든지 어디로 가든지 형통할찌라.

 

즉 다윗의 길이란 하나님의 말씀대로 순종할 때 어디로 가든지 형통하는 길을 뜻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