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포기하지 말고 도전하라(삿 1:1-7)
하나님의 형상을 닮은 존재라는 말은 인간이 하나님이 지향적 존재라는 뜻입니다.
사사기는 어두운 시대에 하나님의 사람으로 승리하며 살아가는 방법을 가르쳐 준다.
첫째 하나님의 인도를 구하라(삿 1:1)
둘째 포기하지 말고 도전하라(삿 1:2)
셋째 말씀을 따라 행동하라(삿 1:2, 4, 7)
2. 약속을 붙들고 순종하라(삿 2:1-5)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의 말씀에 온전히 순종하지 않은 이유가 무엇일까요?
가나안 거주민들을 쫓아내지 않은 이유가 무엇일까요?
첫째 이기심 때문입니다(28-30)
가나안 주민들을 다 좇아내지 않은 이유는 자신의 노동력으로 이용하기 위해서입니다. 결국 인간의 이기심이 하나님의 말씀에 불순종하도록 만들었습니다.
둘째 피해의식 때문입니다(19절)
저들을 공격하다가 내가 당하면 어쩌나 하는 염려 때문에 골짜기 거민들을 내좇지 않았습니다.
우리가 세상을 살다보면 눈 앞의 이익 때문에 신앙을 고집하며 살다가 자칫 손해보지는 않을까 하는 의심 때문에, 혹은 내 인생의 계획이 수포로 돌아가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과 불안감 때문에 불신앙과 타협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우리의 행복과 승리의 삶은 오직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함으로써만 경험할 수 있습니다(잠 3:1-8).
3. 하나님을 경험하여 알라(삿2:6-15)
우리가 다음 세대를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무엇보다 신앙의 계승 때문이다.
이스라엘은 가나안 땅을 얻은 후에 오히려 믿음의 후손을 잃어버리고 말았습니다(삿 2:11-12).
어떻게 하면 우리는 이 비극의 역사를 재현하지 않고 하나님이 원하시는 삶을 살 수 있을까요?
첫째 거룩한 리더십을 세워라(삿 2:7)
여호수아의 리더십을 따랐던 1세대 사람들은 여호와를 섬겼습니다. 그러나 여호수아가 죽은 후에 이스라엘은 영적 리더십을 계승하지 못했습니다.
둘째 여호와를 경험하라(삿 2:10)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을 알지 못했습니다. 또한 하나님이 행하신 일도 알지 못하였습니다. 이것은 여호와에 대한 경험적 지식의 상실을 의미합니다. 하나님의 사람들이 저녀들에게 물려줘야 할 최대의 유산은 신앙의 체험입니다.
신앙의 유산 계승을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할가?
첫째, 하나님을 가르쳐야 합니다.
하나님 없는 교육은 현명한 악마를 키우는 것과 같다(오스카 와일즈).
우리가 다음 새데를 가르친다는 말은 그들이 원하는 것을 해준다는 말이기보다는 그들이 반드시 해야 할 일을 알려줌을 의미한다.
둘째, 신앙의 본을 보여야 한다.
주일성수를 가르치고, 교회를 섬기고 헌신하는 모습을 보여 주며, 교회의 리더십에 순종하는 겸손한 모습을 드러내야 합니다.
셋째 배려해 주어야 합니다.
우리의 예배현장이 다음 세대가 하나님을 체험하는 현장이 되게 해야 합니다. 우리는 교회생활을 통해서 다음 세대가 하나님을 경험할 수 있는 현장을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4. 성령의 능력을 붙들라(삿 3:1-11)
하나님의 사람들이 세상을 살아가는 방법이 대화와 타협으로 삼으면 안됩니다. 성도는 언제나 하나님의 말씀을 원칙과 기준으로 삼아야 합니다.
타협의 결과
1. 문화의 타락(삿 3:5-6)
이방문화의 공유는 성도의 거룩과 성결한 삶을 오염시키고 타락하게 합니다.
2. 신앙의 타락(삿 3:7)
어떻게 회복할 것인가?
1. 여호와를 찾으라(삿 3:9)
사사기에 나타난 전형적인 패턴 : 죄, 진노, 회개, 구원
2. 여호와의 신으로 힘입으라(삿 3:10)
하나님의 사람들이 승리의 삶을 사는 비결은 성령입니다.
5. 영적 바이오 리듬을 유지하라(삿 3:12-31)
신앙생활에도 영적인 주기가 있습니다(삿 3: 12-14). “또 늦기 전에 신앙의 정점에서 하나님의 역사를 날마다 체험하며, 성령님과 호흡하고, 거룩과 성결의 삶을 살아야 합니다.
'책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도서 강해, 테렉 키드너 (0) | 2024.05.22 |
---|---|
하나님과 교제하는 방법, 알란 하크니스, 성서유니온 (0) | 2024.05.19 |
하나님을 아는 그리스도인 (0) | 2024.05.19 |
하나님의 예정과 선택, R.C 스프로울 (0) | 2024.05.19 |
하나님을 체험함 (0) | 2024.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