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인들에게 한 가지 고민이 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대로 살아야 한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그렇게 살면 손해 보고 실패한다는 두려움이 있습니다. 성경의 원리대로 살면 과연 손해 보고 실패하는 걸까요? 성경은 결코 그렇게 말씀하고 있지 않습니다. 다만 당장에는 손해 보는 것 같아도 결국에는 진가가 드러나고 성공하게 됩니다.
정직한 사람은 언제나 손해 보고, 부정직한 사람이 성공하는 것일까요? 성경은 속이는 저울을 사용하지 말고 공평한 추를 사용하라고 합니다. 솔로몬 왕이 통치하던 시대에는 부정한 산 거래가 횡행하였습니다. 선지자들은 이러한 잘못된 상거래에 부당함을 책망하였습니다(겔 45;10;암 8:5). 화페가 생기기 전에는 저울을 사용하여 상거래를 하였습니다. 두 가지 종류의 돌 추를 교묘하게 사용하여 부당한 이익을 취하였습니다. 팔 때에는 가벼운 추를 저울에 놓아 조금 주고, 살 때에는 무거운 추를 놓아 많이 받았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이득을 많이 남기기 위하여 속이는 저울을 사용하는 악한 상인를 미워하시고 정직하게 장사하는 상인을 기뻐하십니다. 저울과 추에 대한 이야기가 사람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넘어갑니다. 자기 마음대로 기준을 정하고 살아가는 사람은 교만한 것이고, 수욕을 당하게 되고 넘어지게 됩니다. 정확한 저울은 율법인데 하나님만이 옳고 그르다는 판단을 갖고 계십니다. 부자 청년은 자신의 기준으로 살아가는 악덕 상인입니다.
율법의 기준에 자신을 비추어 보는 사람은 겸손하고 정직하게 자신의 죄를 고백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속이는 저울은 사람이 어떤 기준으로 판단하는 가를 부각시키는 비유입니다. 저율의 속임수는 언제나 드러나게 되어 악인의 소망은 끊어지게 됩니다. 반면에 의인의 정직은 마침내 구원을 얻게 됩니다. 결국 의인의 정직은 성공과 축복의 길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예배하는 것에만 계시지 않고 장사하고 거래하는 현장에도 계십니다. 은밀하게 속이는 저울을 사용하는 사람을 보응하십니다. 공평한 저울을 사용하시는 자도 보응하십니다. 속이는 사람은 상대에게 신뢰감을 줄 수 없기 때문에 직장이나 사업세서 실패를 반복합니다. 문제의 원인이 자신에게 있는 줄을 알지 못하고 다른 사람들을 탓하거나 환경을 탓합니다.
말씀을 생활 속에 적용하는 것이 성공의 비결입니다. 믿지 않는 사람들도 성경적인 성공의 비결을 따르면 성공하게 되어 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은 모든 사람들에게 적용되는 법칙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의인이 성공하고 형통하면 공동체가 즐거워합니다. 말을 하지 않아서 그렇지 악인이 패망하면 주위에 있는 사람이 기뻐 외칩니다. 욕심이 있는 지도자는 가시나무와 같아서 가까이 있는 사람들을 찌릅니다. 지도자를 잘 만난 공동체는 평안과 기쁨을 누립니다.
성경은 자기 자신만을 위하여 살아가는 사람을 악인이라고 합니다. 자기 밖에 모르는 사람은 외로운 인생을 살아가게 되고 허무로 인생이 끝나게 됩니다. 하나님을 섬기고 이웃을 섬기는 사람은 의인의 상을 받게 되고 사람들에게 좋은 영향력을 끼칩니다. 악인이 이 세상에서 죄에 대한 보응을 받는 것처럼 의인도 선에 대한 보응을 받게 됩니다.
흩어 구제하여도 더욱 부하게 되고 과도하게 아껴도 가난하게 됩니다. 샘물을 길어내면 맑은 물이 더 많이 솟아나는 이치와 같습니다. 생존의 문제가 달려있는 상황에서 자신의 이익을 챙기기 위하여 매점매석하거나 폭기를 취하는 것은 하나님의 진노를 당하게 됩니다. 그러나 흉년에 적절한 가격에 곡식을 팔아서 사람을 살리는 것은 선한 행동입니다. 이런 사람은 자기도 윤택하게 됩니다.
남을 돕는 것은 쓰고 남으면 돕는 것이 아니라 미리 남겨 놓아야 합니다. 주라 그리하면 흔들어 넘치도록 채워주시겠다는 것이 하나님의 약속입니다. 남을 윤택하게 하는 자는 자기도 윤택하게 됩니다. 개인이나 가정이나 교회나 기업이나 국가도 성경적인 원리에 따라 하면 상대도 살리고 자신도 삽니다.
하나님께서는 불의한 방법으로 재물을 취하는 사람들에 대해서 얼마나 미워하시는 지 모릅니다. 그런데 이것을 개의치 않고 재물을 손에 넣는 기쁨을 주체하지 못하고 계속 동일하게 악을 행하는 것은 안타까운 일입니다. 불의한 방법은 당장에는 유익한 것처럼 보여도 장기적으로는 망하게 하는 것입니다. 바른 길을 선택하면 그 순간은 비난을 받지만 결국 기쁨으로 단을 거두게 됩니다.
'설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래도 구해야 하는가?(겔 36:36-38), 김덕선 목사 (0) | 2024.08.22 |
---|---|
시기와 기회(전 3:11), 김덕선 목사 (0) | 2024.08.21 |
무엇을 이루기 위해 사는 가?(막 14:49), 김덕선 목사 (0) | 2024.08.21 |
죽음의 공포 어떻게 극복할까?(히 2:14-15), 김덕선 목사 (0) | 2024.08.21 |
한 번도 해보지 못한 감사(고후 12:7-10), 김덕선 목사 (0) | 2024.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