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인간관계를 맺고 사는 모습을 보면 여러 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매듭을 풀고 살려고 애쓰는 사람이 있습니다. 어떻게 하든지 매였던 것을 풀어보려고 합니다. 용서를 빌고, 관계를 회복하고, 껄끄러움을 지우려고 합니다. 할 수 있다면 모든 사람과 화목하게 살고 싶어 합니다(롬 12:8).
그러나 어떤 사람은 매듭을 맺고 사는 사람이 있습니다. 처음에는 좋았다가 나중에 보면 매듭을 맺고 인간관계를 끝내는 사람이 있어요. “세상에 너 밖에 사람이 없는 줄 아느냐?” 라는 식으로 왕래를 끊어요. 이 사람하고 매듭을 맺고, 저 사람하고 매듭을 맺고, 위로 매듭을 맺고, 아래로 매듭을 맺어요. 이런 사람들은 결국 고독하게 외롭게 삶을 살아갈 수밖에 없습니다.
주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무엇이든지 너희가 땅에서 매면 하늘에서도 매일 것이요 무엇이든지 땅에서 풀면 하늘에서도 풀리리라”(마 18:18).
그러니까 여러분의 인생이 풀리려면 매면서 살아야 할까요? 아니면 풀면서 살아야 할까요?
당연히 풀면서 살아야 하지요!
그런데 ‘한이 맺혔다’, ‘눈에 흙이 들어가기 전에는 절대로 용서할 수 없다.’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참 불행한 사람이지요! 땅에서 그렇게 단단히 매고 사는데, 어떻게 하늘에서 풀리겠어요!
에스키모인들에게는 ‘용서’라는 단어 자체가 없답니다. 그래서 모라비안 선교사들이 ‘용서’라는 뜻을 설명해주었습니다. 에스키모 말로 ‘이쑤 마기주 중 나이 너미크(Issu Magigou jung nai nermilk)’라고 가르쳐주었습니다. 그 뜻은 ‘더 이상 그 일에 대해 생각하지 않는 것’입니다.
진정한 용서는 ‘그 일 자체를 잊어버리는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말은 하지 않지만, 남편의 일, 아내의 일, 이웃의 일, 교우의 일을 마음에 차곡차곡 쌓아놓습니다.그래서 때마다 ‘네가 그랬지!’ 하고, 생각하고 또 생각하고, 말하고 또 말합니다. 이것은 용서의 태도가 아닙니다.
마귀는 남의 죄를 들춰내고, 생각나게 하고, 원한을 갖게 하고, 복수를 하게 하지만, 성령께서는 용서하고 덮어주고 잊게 합니다. 다윗은 용서하고 관용함으로 사람들의 지지를 얻고, 하나님의 축복을 받게 되었습니다. 이 용서의 물결이 여러분의 영혼 속에 넘쳐흐르길 바랍니다.
조니 링고의 이야기
조니는 대단한 사업가로 카리브 군도 전체에서 가장 부자였다. 뿐만 아니라 그는 외모도 잘 생긴 완벽한 신랑감이었다. 조니 링고는 루시타의 아버지에게 결혼 지참금으로 여덟 마리의 소를 제안했다. 루시타의 아버지는 암소 두 마리만 받으면 다행이라고 생각했다.
조니가 터득한 것은 바로 어떤 사람이 장차 변화될 모습을 알고 거기에 맞추어 대우를 하면 그렇게 변화된다는 것이었다. 조니는 암소 여덟 마리의 아내를 원했고, 그래서 처음부터 아내를 그렇게 대우했던 것이다.
하나님이 우리를 대하시는 방법이 바로 이렇다. 우리의 추함, 죄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우리를 아주 극진하게 대우하신다. 그분은 자신의 독생자를 우리에게 주셨다.
나는 왜 그 사람 때문에 힘들까
인간관계는 사람이 인생에서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위대한 것들 중 하나다.
관계는 우리 삶에 필요한 수많은 좋은 것들을 배달하는 우체국과도 같은 존재다. 우리에게는 사랑과 안식, 은혜, 배려, 격려, 진실, 용서 및 그 밖의 무수히 많은 것들이 필요하다.
무언가를 느끼고 배려하고 상처받고 분노하고 사랑하고 미워할 수 있다면 당신은 내적으로 죽은 게 아니라 살아있는 것이다.
상처로 괴로워하는 것과 해를 입어 망가지는 것은 다르다, 상대가 당신에게 해를 끼치도록 내버려 두어서는 안된다.
당신에게 가장 중요한 사람들이 당신을 가장 힘들게 할 수 있다. 누군가가 우리에게 중요해 질 때, 우리는 그 사람에게 다른 사람에게는 보여 주지 않는 내적인 자아를 보여 주게 된다. 그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이 할 수 없는 방식으로 당신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이해하라.
연약함을 채우기 위해 관계를 형성하지 말라. 상대방의 강점을 찾는 것은 좋지만 그 사람이 당신의 약한 부분을 채워 주길 바라는 것은 주의해야 한다.
또래 집단은 이들과 비슷한 수준의 충동적이고 공격적인 대처능력을 갖고 있는 집단이기 때문에 이들에게 도움이 되지 못한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소년 교인의 감소현상 (2) | 2024.06.04 |
---|---|
청소년 도박 중독 심각하다 (1) | 2024.06.04 |
분노를 대적하십시오(엡 4:26-27) (0) | 2024.06.01 |
산상수훈 모음집 (0) | 2024.05.26 |
죄책감을 대적하십시오(롬 8:34) (0) | 2024.05.23 |